IT개발/Java
[Java] trim(), charAt()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
dootiger
2014. 4. 6. 22:17
반응형
trim() : 문자열 양끝에 존재하는 공백을 제거해준다.
charAt(n) : n+1 번째에 존재하는 문자를 가져온다.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Quiz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String a;
char ch;
System.out.print("문자 한 개를 입력하세요. >>");
Scanner input=new Scanner(System.in);
a=input.next();
ch=a.trim().charAt(0);
if( (65<=(int)ch && (int)ch<=90) || ( 97<=(int)ch && (int)ch<=122) )
{
System.out.println("알파벳이다.");
}
}
}
위 예제에서 char형 ch가 String 형인 a의 첫번째 글자(0+1(n=0))를 따 오는 것이다.
만약 입력시 ABCD 를 입력하게 되면 ch에는 A만 저장이 되는 것이다.
charAt(1)을 입력하게 되면 B를 저장한다.
[출처] [JAVA]trim() , charAt()|작성자 신어
반응형